제 목 : 초대교회의 7단계 말씀 학습법 | 조회수 : 83 |
작성자 : 이강현 | 작성일 : 2025-03-19 |
<초대교회의 7단계 말씀 학습법>
초대교회의 신앙 교육은 단순히 듣고 배우는 것이 아니라 깊이 내면화하고 실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1. 카라(통독)
성경을 소리 내어 읽으며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공동체 안에서 함께 읽으며, 말씀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유대인들은 토라(모세오경)을 매년 반복해서 읽었으며, 이를 통해 신앙의 기초를 다졌다.
2. 하야(암송)
성경 말씀을 암송하여 마음에 새기는 과정이다. 시편 119:11절 (내가 주께 범죄하지 아니하여 하여 주의 말씀을 내 마음에 두었나이다) 말씀처럼 유대 전통에서는 말씀을 암송하면 신앙을 내면화 했다. 어린 시절부터 토라를 암송하게 하여 자연스럽게 신앙이
형성되도록 했다.
3. 씨하흐(묵상)
배운 말씀을 깊이 묵상하는 단계이다. 단순한 읽기와 암송을 넘어 말씀의 의미를 내면화 하며 하나님과 교제하는 시간을 갖는다.
시편 1편에서 “주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주야로 묵상하는 자"라고 말하듯, 묵상을 통해 말씀을 삶에 적용하는 법을 배운다.
4. 다라쉬(연구)
말씀을 깊이 연구하는 단계이다.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며, 본문의 의미를 분석한다. 예수님도 성전에서 율법학자들과 토론하셨듯이 철저한 연구와 질문을 통해 진리를 깨닫는 과정이다.
5. 쇼파트(토론) & 카타브(원고 작성)
말씀을 공동체 안에서 토론하며 정리하는 과정이다. 질문과 답변을 통해 서로의 신앙을 점검하고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글로 남긴다. 탈무드 학습 방식처럼 서로 질문하며 깊이 있는 신앙을 형성한다.
6. 라마드(설교)
배운 말씀을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는 단계이다.교사는 말씀을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삶으로 본을 보이며 가르친다.
신명기 6장 7절에 “네 자녀에게 부지런히 가르치며"라는 말씀처럼 부모가 자녀에게 지속적으로 신앙을 가르치는 역할을 한다.
7. 아싸(행함)
배운 말씀을 삶 속에서 실천하는 단계이다. 야고보서 1장 22절에서 “너희는 말씀을 행하는 자가 되고 듣기만 하여 자신을 속이는 자가 되지 말라"라는 말씀처럼 신앙은 실천을 통해 증명된다. 성경의 가르침을 따라 이웃을 섬기고, 사랑을 실천하며, 하나님의 뜻을 살아가는 것이 핵심이다.
"
이전글 : 어벤저스 겨울성경학교 팀 | |
다음글 : 사순절기간동안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까? | |
이전글 다음글 | 목록보기 |